지난 3년간 폭염경보가 세 배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올해는 6월16일 첫 경보가 발효돼 시기도 점점 빨라지는 것 같다. 이래저래 에어컨 켜기 어려운 에너지 빈곤층의 어려움이 커가는 시기다. 폭염만큼이나 탈원전에 대한 논란도 뜨겁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 여부와 탈원전에 기반을 둔 에너지 정책에 대한 논란이 연일 오르내리고 있다.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 여부에 대해 3개월 기한으로 공론조사를 벌이겠다고 했다. 이어 연말까지 탈원전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한다. 공론조사도 전에 탈원전 로드맵이라고 단정한 것은 문제가 있으나, 어쨌든 한다면 탈원전 로드맵이 먼저이고 그에 따라 신고리 5·6호기 문제를 결정하는 것이 순서인데 아쉬운 점이다. 또한 공론조사는 정보 제공, 시민배심원단의 학습 및 숙고가 필요한데 3개월 시한은 매우 촉박해 보인다. …[더보기]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기고 <서울경제원문바로보기>